본문 바로가기
개인 금융 & 투자 전략/주식, 펀드, 부동산 등 투자 입문과 관리 노하우

[금융/증권] 마이너스 주식, 어떻게 해야 하는가? 추매 혹은 손절

by 직장인 졸업 2025. 2. 8.
반응형

마이너스 종목을 어떻게 해야하죠?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미국 주식 및 일본 주식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모든 주식이 수익을 내고 있는 상황이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마이너스인 주식을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이실텐데요. 제가 했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경쓰지 않고 꾸준히 매수한다.

  사람마다 주식을 매매하는 기준은 다를텐데요. 저의 경우, 오래 들고 갈 생각으로 여유자금이 생기면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다 아실마한 대기업 위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보유 종목이 마이너스라도 신경쓰지 않고 매수합니다. 다만 매수가를 고려할 때는 올랜도 킴 미국주식 유튜브를 보고 결정합니다.

엔비디아 적정 매수 시점

 

과감하게 손절한다.

  기업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면 마이너스가 얼마인지 신경쓰지 않고 과감하게 손절해야합니다. 이 때 매몰비용을 고려해서는 안됩니다. 여러분이 고민하는 시간조차도 아까우니 정리하고 다른 종목에 투자해야 합니다. 저는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WBA)를 보유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업 실적이 악화가 예상되어 -26%임에도 불구하고 손절했습니다. 매도했을 때의 당시 주가가 $17.84이고 현재 주가는 $10.12입니다.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WBA) 손절 및 현재 주가

 

손절 후 다시 매수한다.

  양도소득세가 발생했다면 세금을 줄일 목적으로 마이너스 종목을 매도 후 다시 매수합니다. 저는 원치않게 급전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해서 가지고 있던 주식 일부를 처분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세금을 한 푼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마이너스 종목을 전부 다 처분했습니다. 그리고 계속 들고갈 종목이었기에 다시 매수했습니다. 다만,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면 수를 조정한다거나, 경제 상황에 맞춰 매수 전략을 가져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양도소득세 발생 및 마이너스 실현손익

 

정리하며...

  마이너스 주식에 대해 어떻게 해야하는 지 제 경험담을 위주로 말씀드렸습니다. 이 글에서 답을 찾지 못하시는 분들도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다른 곳에서는 꼭 답을 찾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에도 독자 여러분들께 필요한 컨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슈카월드 유튜브하락장에 어떻게 대응해야하나라는 동영상이 있습니다. 투자를 하시면서 처음 겪으시는 분들이나 이미 하고 계신 분들에게도 유익한 내용이니 한 번 시청해보시길 바랍니다.

하락장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