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관리와 투자/주식 투자 인사이트 & 전략

[통계청/2024년/자산 추이] 20·30대 평균 자산은? 1인·2인·3인 가구별 격차 분석

by 직장인 졸업 2025. 7. 27.
반응형

대한민국에서 내 나이대의 다른 사람들은 자산을 얼마나 갖고 있을까?

  성인이 되고 가정을 꾸릴 나이가 되면 돈은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조건이 됩니다. 아무래도 가까운 사람들끼리도 가지고 있는 재산을 오픈하긴 조심스러우니 섣불리 물어볼 수도 없네요...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궁금증은 마침내 통계청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도 알고 싶었고요. 비교를 빼놓고 살아본적이 없으니 오히려 더 신경쓰인 것도 있었던 거 같아요. 통계청 자료에서 핵심만 살펴보도록 할게요.


항목별 자산

20, 30대 평균 자산

  20대(29세 이하)의 평균 자산은 약 1.4억(14,662만) 원, 30대(30-39세)의 평균 자산은 약 3.6억(36,175만) 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대했던 것보다 다소 높은 금액인데요. 여기에는 부채도 포함되어있다는 걸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그렇다고 해도 높은 금액이네요... 중앙값은 20대는 7,060만 원, 30대는 26,900만 원입니다. 평균이랑 격차가 있는 편이죠. 이는 상위 소득자와 하위 소득자 간 격차가 크다는 의미이며, 양극화가 심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인, 2인, 3인 가구 자산 비교

  가구별 평균 자산, 부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순자산을 얻을 수 있습니다.

  • 1인 가구: 약 2.1억(21,217만) 원, 약 4천만(4,012만) 원
  • 2인 가구: 약 5.6억(56,322만) 원, 약 7천만(7,532만) 원
  • 3인 가구: 약 7.1억(71,126만) 원, 약 1.2억(11,934만) 원

  대한민국 수준 정말 높네요... BTS가 등급컷을 너무 올린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중앙값으로 자산, 부채를 보겠습니다.

  • 1인 가구: 약 9천만(9,584만) 원, 약 4천만(4,100만) 원
  • 2인 가구: 약 3.2억(32,159만) 원, 약 6천만(6,350만) 원
  • 3인 가구: 약 4.6억(46,120만) 원, 약 9천만(9,305만) 원

  역시나 평균값과 중앙값의 격차가 다소 확인됩니다. 통계청 자료에는 2023년 자료도 같이 첨부되어 있으니, 변화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산을 늘리는 전략

  평균 이상으로 가기 위한 재테크는 3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주식 투자 (해외주식, ETF)
  • 절세 (세액공제)
  • 생활비 점검 및 고정지출 절약

  제 기준으로 가장 성과가 좋았던 방법은 바로 해외 주식 투자였습니다. 소액으로 시작하면서 점차 금액을 늘려나갔습니다. 지금은 가지고있는 자산의 대부분이 미국주식입니다. 제가 미국주식에 투자하면서 소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던 계기가 있습니다. 여러 개의 유튜브 채널을 참고하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종목을 구성했고, 종목당 금액은 얼마나 설정해야하는지 기초적인 내용을 배울 수 있던 채널이 있었는데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3가지 채널을 소개해드릴건데, 오선의 미국 증시 라이브는 미국 주식 시장 개장에 맞춰 라이브 방송을 해주는 채널입니다. 속보도 전해주시니 자기 전까지 봐야합니다. 올랜도 킴 미국주식은 종목의 펀디멘탈과 차트 분석을 해주는 채널입니다. 꾸준히 여러 종목에 대해 펀디멘탈과 차트 분석을 해주기 때문에 꾸준히 참고해야하는 채널입니다. 마지막으로 뉴욕주민은 지금은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있지 않지만, 여러분들이 꼭 보셨으면 하는 내용들이 담겨있습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와 전문 용어와 지식을 정말 똑부러지게 설명해줍니다. 전문 영상 외에도 개인적인 고민이나 방향에 대한 내용도 다루니 정말 꼭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한 미모도 하시니 지루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미국 주식을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은 처음부터 큰 금액으로 시작하지마시고 소액으로 시작하시면서 S&P500, 나스닥 지수 관련 ETF를 담아가시면서 종목을 넓혀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평균은 그저 하나의 기준일 뿐입니다. 20·30대의 현실 자산을 알았다면, 지금부터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 고민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 또한 20대에는 중앙값만큼의 자산도 없었습니다. 꾸준히 자산을 모아가면서 투자를 하다보니, 상승률로만 본다면 평균을 앞지르는 날이 올 거 같네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지금부터 차근차근 재테크 습관을 만들면 평균 이상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통계는 현재를 보여주지만, 미래는 여러분의 선택이 만듭니다. 성투를 기원합니다.

 

 
 

책갈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