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 관리와 투자16

[금융/증권] 투자 초창기에 했던 실수 3가지와 교훈 과거를 돌이켜보며... 투자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월급만으로는 서울에 있는 부동산을 살 수 없다는 걸 깨닫고나서부터 였습니다. 은행에서 잠자고있는 돈을 굴려보기 위해 주식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무너지는 수익률 앞에서 이성을 유지하는 건 생각보다 많이 힘든 일이었습니다. 적지 않은 수업료를 냈지만 그 실수라는 경험 덕에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늦은 나이에 시작 나이가 깡패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저는 공부를 길게하느라 취업이 많이 늦어졌지만, 회사에 들어오는 신입을 보면 많이 부럽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 때부터 무엇이든지 시도해볼 수 있으니깐요. 예전에 젊은 팀장님이 산업기능요원 복무를 하고 있는 친구에게 장난 반 진담 반으로 하던 말이 '일찍 들어와서 돈버니까 .. 2025. 8. 2.
[통계청/2024년/자산 추이] 20·30대 평균 자산은? 1인·2인·3인 가구별 격차 분석 대한민국에서 내 나이대의 다른 사람들은 자산을 얼마나 갖고 있을까? 성인이 되고 가정을 꾸릴 나이가 되면 돈은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조건이 됩니다. 아무래도 가까운 사람들끼리도 가지고 있는 재산을 오픈하긴 조심스러우니 섣불리 물어볼 수도 없네요...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궁금증은 마침내 통계청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도 알고 싶었고요. 비교를 빼놓고 살아본적이 없으니 오히려 더 신경쓰인 것도 있었던 거 같아요. 통계청 자료에서 핵심만 살펴보도록 할게요.항목별 자산20, 30대 평균 자산 20대(29세 이하)의 평균 자산은 약 1.4억(14,662만) 원, 30대(30-39세)의 평균 자산은 약 3.6억(36,175만) 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대했던 것보다 다소 높은 금.. 2025. 7. 27.
[국내 상장 해외 ETF 비교] ETF에 숨겨진 총보수 비용 확인 및 비교하기 (feat.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ETF에 투자할 때, 수익률만 보는 건 반쪽자리 판단입니다. ETF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보셨을겁니다.어차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데… 어떤 ETF를 고를지는 수익률만 보면 되는 거 아닌가? 하지만 진짜 장기 투자자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항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총보수(TER, Total Expense Ratio)입니다.총보수(TER)란? 총보수는 ETF를 운용하면서 발생하는 운용 보수, 지수 사용료, 회계·관리 수수료 등 모든 비용을 더한 연간 비용률을 말합니다. 즉, ETF 수익률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숨은 비용’이죠. ETF의 수익률이 10%라도, 총보수가 0.1%라면 실제 수익은 9.9%로 줄어드는 셈입니다.예시를 가져왔습니다. 아래는 S&P500 .. 2025. 4. 23.
[국내 상장 다우존스 ETF 비교] TIGER, KODEX, ACE, SOL | 총보수(TER), 시가총액, 거래량 총정리 다우존스 ETF란? 미국 주식 배당 ETF의 대표주자 다우존스 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는 미국 증시의 대표 30개 우량기업을 추려 만든 지수로,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입니다. 주로 코카콜라, 맥도날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유나이티드헬스 같은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대형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성장보다는 안정성과 배당 중심의 투자에 적합한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이런 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은 미국 우량주에 간접 투자하면서도 정기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특히 장기 투자자나 배당을 선호하는 분들께 많이 선택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다우존스 지수 기반 월배당 ETF 4종(TIGER.. 2025. 4. 22.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비교] TIGER, KODEX, RISE, ACE, SOL | 총보수(TER), 시가총액, 거래량 총정리 나스닥100 ETF란? 미국 기술주의 성장을 추종하는 ETF NASDAQ100 지수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 대형주 중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아마존 등 글로벌 혁신 기술 기업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성장성과 기술 혁신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받습니다. 나스닥100 ETF는 이러한 기술주 중심의 성장 기업군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특히 공격적인 자산 성장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많이 선택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국내에 상장된 나스닥100 ETF 5종(TIGER, KODEX, RISE, ACE, SOL)을 비교하여 어떤 상품이 더 효율적인 선택이 될 지 알아보겠습니다.주요.. 2025. 4. 22.
[국내 상장 S&P500 ETF 비교] TIGER, KODEX, RISE, ACE, SOL | 총보수(TER), 시가총액, 거래량 총정리 S&P500 ETF란? 미국 경제의 축을 이루는 종합지수 S&P500 지수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대형 우량 기업의 주가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대표적인 주가지수입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엔비디아 등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S&P500은 흔히 미국 경제 전체를 반영하는 대표 지수로 불리기도 합니다. S&P500 ETF는 이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에게 기본 포트폴리오 역할을 해주는 핵심 ETF입니다. S&P500에 투자하고 싶지만, 해외 직접투자는 어렵고 환전도 번거로운 분들께 국내 상장된 미국 ETF는 매우 매력적인 대안입니다. 증권사에서 개설할 수 있는 연금계좌에서 반드시 모아가야.. 2025. 4. 20.
[금융/증권] 드러켄밀러의 보유 주식은? (feat. SEC FORM 13F) 연평균 수익률 30! 세계적인 투자자, 드러켄밀러의 보유 주식은 뭐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되는 보고서인 SEC FORM 13F를 통해 드러켄밀러가 분기마다 보유 중인 종목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번 온라인 기사를 통해서만 보유한 종목만을 확인했었는데 이번에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EDGAR: Duquesne Family Office LLC 기업 보고서 목록]으로 바로 접속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북마크 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 블로그도 같이 북마크 부탁드려요.) 그럼 드러켄밀러가 대표로 있는 Duquesne Family Office LLC의 보유 종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 2025. 2. 23.
[금융/부동산/증여] 아파트 증여세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아파트 증여세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아파트를 증여받았을경우, 세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증여세 세율표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1억 원 이하10%05억 원 이하20%1천만 원10억원 이하30%6천만 원30억 원 이하40%1억 6천만 원30억 원 초과50%4억 6천만 원 증여공제관계증여공제금액배우자6억 원직계존비속5,000만 원(미성년자 2,000만 원)기타친족1,000만 원 증여세 계산 방법증여재산가액: 증여세 과세대상이 증여 재산의 금전적 가치 (증여일을 기준으로 시가로 평가하는 것이 원칙) 비과세: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이재구호금품, 치료비, 피부양자의 생활비, 교육비 등 과세가액 불산입액: 공익법인 등이 출연받은 재산, 장애인이 증여받은 재산 채무액: 해당 증여재산에.. 2025. 2. 18.
반응형